한국여행/한국관광110선110 수원화성 관광특구 수원화성 관광특구 지역 : 경기도 주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780 연락처 : 031-228-4672 홈페이지 : http://www.swcf.or.kr/ 수원화성은 조선왕조 제 22대 정조대왕이 세자에 책봉되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뒤주 속에서 생을 마감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침을 양주 배봉산에서 조선 최대의 명당인 수원 화산으로 천봉하고 화산 부근에 있던 읍치를 수원 팔달산 아래 지금의 위치로 옮기면서 축성되었다. 수원화성은 정조의 효심이 축성의 근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쟁에 의한 당파정치 근절과 강력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원대한 정치적 포부가 담긴 정치구상의 중심지로 지어진 것이며 수도 남쪽의 국방요새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 수원화성 관광특구 현황 1) 범.. 2022. 8. 20. 익선동 익선동 지역 : 서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익선동 연락처 : 북인사동 관광안내소 02-734-0222 남인사동 관광안내소 02-737-7885 홈페이지 : http://tour.jongno.go.kr/tour/main/contents.do?menuNo=110753 익선동은 골목과 한옥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매력을 풍기는 곳으로, 남녀노소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젊은세대와 어르신 간 세대를 이어주는 장소이기도 하다. 2022. 8. 20. 흰여울문화마을 흰여울문화마을 지역 : 부산 주소 : 부산광역시 영도구 흰여울길 379 연락처 : 051-419-4067 홈페이지 : http://www.ydculture.com/huinnyeoulculturetown/ 피난민들의 애잔한 삶이 시작된 곳이자 현재는 마을주민과 함께하는 문화마을공동체 흰여울문화마을이 자리한 곳이다. 부산의 대표적인 원도심 흰여울길은 봉래산 기슭에서 굽이쳐 내리는 물줄기가 마치 흰 눈이 내리는 모습과 비슷하다 하여 이름 지어졌다. 2011년 12월, 낡은 가옥을 리모델링하면서 현재는 영도의 생활을 느낄 수 있는 독창적인 문화예술마을로 거듭났다. 2022. 8. 20. 퍼플교 퍼플교 지역 : 전라남도 주소 :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소곡두리길 257-35 퍼플교 연락처 : 061-240-8357 홈페이지 : https://tour.shinan.go.kr/home/tour/ 퍼플교는 신안국 안좌면 박지마을에서 평생 살아온 할머니의 소망이 담겨있는 다리이다. 할머니의 간절한 소원은 살아 생전 박지도 섬에서 목포까지 두발로 걸어가는 것이었다. 이후 2007년 신활력 사업으로 목교가 조성되었으며 반월, 박지도가 보라색 꽃과 농작물이 풍성한 사계절 꽃피는 1004섬의 의미로 퍼플교로 불리우게 되었다. 다리 중간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팔각정과 낚시를 할 수 있는 공간도 있다. 밤이 되면 소망의 다리는 더욱 빛이 난다. 암흑이 드리워진 곳에 퍼플교만의 환한 불빛이 비추고, 다리 아래로.. 2022. 8. 20. 익산 미륵사지 [유네스코 세계유산] 익산 미륵사지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역 : 전라북도 주소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로 362 연락처 : 063-859-3873 홈페이지 : http://iksan.museum.go.kr 미륵산을 병풍으로 두른 백제 최대의 사찰 터다. 백제 무왕 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나, 17세기 조선시대에 이르러 폐사되었고, 남은 일부가 오늘에 이르렀다. 그간 발굴 조사를 통해 사찰 규모, 건물 배치(가람배치)와 구조를 밝히는 데 힘썼다. 그 결과 약 8만m2(2만5000평)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절터임을 밝혀냈다. 이때 주요 유물 2점이 발굴됐는데, 6층 높이로 남은 미륵사지석탑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석탑이자 가장 큰 석탑임이 드러났다. 이후 국보 제11호로 지정됐고, 9층 높이로 추정돼 보수에 들.. 2022. 8. 20. 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 지역 : 전라북도 주소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99 연락처 : 063-282-1330 홈페이지 : http://hanok.jeonju.go.kr 700여 한옥이 밀집한 국내 최대 규모의 한옥촌이다. 전주전통술박물관부터 전주에서 발간한 목판 인쇄물을 볼 수 있는 완판본문화관, 전통악기 소리가 흐르는 전주소리문화원, 공예품전시관, 한옥 숙박 체험, 국악방송국 등 고전미를 여실히 느끼게 하는 시설이 다수 들어서며 연간 관광객 1000만 명이 찾는 관광지로 우뚝 섰다. 풍남동 전주한옥마을의 시작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로 일본이 양곡 수송을 위해 전주 읍성의 풍남문(남문)을 제외한 모든 성곽을 철거하자 성밖에 머물던 일본인이 성안으로 진출해 상권을 확장했다. 조선인은 이에 반발해 풍남.. 2022. 8. 20.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 : 울산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안길 254 연락처 : 052-229-4797 홈페이지 : http://ulsan.go.kr/s/bangudae/main.ulsan 고래잡이 모습을 담은 세계 최초의 암각화인 대한민국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만나러 가는 여정은 울산암각화박물관에서 시작하자. 그림이 그려진 바위는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강 건너편에서 망원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데, 멀리서도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사전 지식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지역 사람들만 존재를 알고 있던 암각화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71년 동국대 탐사팀에 의해서다. 선사시대 그림이라 믿기지 않을 정도로 다양한 동물을 정확히 묘사하고 있어 총 29.. 2022. 8. 20. 병산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병산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역 : 경상북도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길 386 연락처 : 054-858-5929 홈페이지 : http://byeongsan.net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서원으로 손꼽히는 서원이자, 도산서원과 함께 안동을 대표하는 서원이다. ‘병풍 병(屛)’ 자를 사용한 데서 짐작할 수 있듯, 산이 병풍처럼 두른 곳에 자리했다. 서원으로 진입하는 입구 격인 복례문을 지나면 나오는 만대루에 올라서면 누각을 지탱하는 일곱 기둥 사이로 산의 능선이 구불대고, 아래로는 낙동강의 은빛 백사장과 맑은 물이 흐르는 그림 같은 풍경이 펼쳐진다. 만대루에서 내려오면 유생들이 공부를 하던 입교당을 중앙에 두고 좌우로 기숙사 격인 동재와 서재가 놓였다. 여느 서원처럼 조선시대 교육기관이자.. 2022. 8. 20. 안동 하회마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안동 하회마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역 : 경상북도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종가길 2-1 연락처 : 054-852-3588 홈페이지 : http://hahoe.or.kr 넷플릭스의 화제작 부터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퓨전 사극 , 격동의 구한말을 위트 있게 들여다본 등 숫한 영화와 드라마를 이곳에서 촬영했다. 130여 채의 고택이 수백 년 넘게 옛 모습을 위풍당당하게 지키고 있는 한국의 역사 마을, 안동 하회마을이다. 조선시대의 대유학자 겸암 류운룡과 임진왜란 극복에 큰 역할을 한 조선의 명재상 서애 류성룡을 배출한 풍산 류 씨 집성촌으로, 현재까지 마을 주민의 70%가 류 씨다. 낙동강이 S자 모양으로 마을을 휘감은 모양세가 마치 물 위에 뜬 연꽃 같다고 해 ‘하회(河回)’란 이름이 .. 2022. 8. 20. 부석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부석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역 : 경상북도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연락처 : 054-633-3464 홈페이지 : http://pusoksa.org 2018년 세계문화유산 등재, 2020년 CNN이 선정한 한국의 가장 아름다운 사찰, 4년 연속 ‘한국관광 100선’에 이름을 올린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화엄사상을 우리나라에 처음 전파하며 지어졌다. 건축에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는데, 의상대사를 연모하던 선묘가 용이 되었다가, 다른 종파의 반발로 부석사를 지을 수 없게 되자 바위로 변해 반대 세력을 내쫓았다. 의상대사가 절을 짓도록 도왔던 부석, 즉 선묘가 띄운 바위인 뜬돌에서 이름이 유래하며, 무량수전 옆에 있는 큰 바위가 선묘가 변한 바위라고 한다. 고려 공민왕 .. 2022. 8. 19. 바람의 언덕 바람의 언덕 지역 : 경상남도 주소 :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도장포1길 76(도장포어촌체험마을) 연락처 : 055-639-3000 홈페이지 : http://tour.geoje.go.kr 경상남도 거제도 남단에 있는 도장포마을은 본래 이름보다 바람의 언덕으로 최근 급부상한 여행지다. 평평하고 야트막한 언덕에 올라 바다를 마주하고 오롯이 바닷바람을 느끼는 한산한 풍경 덕에 요즘 거제도를 여행하는 첫 번째 이유가 되었다. 도장포는 중국 원나라 때 일본과 무역하던 도자기 배의 창고가 위치했던 데서 유래했으며, 거제도 남단에 자리해 한때는 부산에서 거제 장승포를 거쳐 도장포까지 여객선이 다녔다. 10여 년 전 언덕에 풍차를 세운 것을 계기로 각종 방송에 소개되자 식당, 펜션, 카페, 기념품점이 들어서며 마을은 .. 2022. 8. 19. 해인사 해인사 지역 : 경상남도 주소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연락처 : 055-934-3000 홈페이지 : http://haeinsa.or.kr 경전에 이르는 여정마다 깨달음을 품고 있다. 경상남도 합천 해인사 일주문 바깥에는 세계문화유산기념 표지석에서 길은 시작된다. 스님의 안내에 따라 일주문을 지나 봉황문과 해탈문을 거쳐 중심 법당인 대적광전을 거쳐 장경판전에 이른다. 장경판전은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일주문의 기둥은 좌우에 하나씩인데, 이는 부처님 안에서 모두가 평등하다는 뜻을 내포한다. 일주문에서 대적광전까지는 오르막길로, 여러 문과 계단을 통과해야 한다. 108 번뇌를 의미하는 108개의 계단을 오르고 문을 넘을수록 문은 작아지고 계단이 가팔라지며 공간은 넓어.. 2022. 8. 19. 성산일출봉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성산일출봉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지역 : 제주도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일출로 284-12 연락처 : 064-783-0959 홈페이지 : http://www.jeju.go.kr/jejuwnh/heritage/seongsan/intro.htm 17세기 제주목사 이익태가 꼽은 제주10경에 이름을 올린 이래, 여지껏 제주 여행자의 필수 방문지 목록에서 제외된 적 없다. 제주 올레길 1코스가 성산일출봉을 통과하는 데서 알 수 있듯 명실상부한 제주도 관광 1번지다. 튼튼한 성벽 같은 기암을 두르고 바다 위에 우뚝 솟은 형상이 마치 요새처럼 보여 성(城)을 닮은 산이란 이름이 붙었다. 바닷속에서 올라온 마그마와 물이 만나 분출한 화산재가 둥그렇게 쌓이며 형성된 수성화산체로, 높이는 해발 180m.. 2022. 8. 19. 한라산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한라산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지역 : 제주도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070-61 연락처 : 064-713-9950~1 홈페이지 : http://www.jeju.go.kr/hallasan/index.htm 남한 최고봉, 제주도 한라산의 높이는 해발 1,947m다. 높을 뿐 아니라 따뜻한 남쪽 바다에 위치한 덕분에 온대부터 한대까지 한 지역에서 보기 어려운 다양한 기후대의 생태계가 수직 분포한다. 한 발 한 발 내딛을 때마다 달라지는 식생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한라산 등반의 즐거움 중 하나다. 1966년 천연보호구역으로 선정된 데 이어 1970년 일곱 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한라산은 2000여 종의 식물과 500여 종의 동물이 살아가는 생태계의 보고다. 국립공원 중 유일하게 지방자치.. 2022. 8. 19. 천지연폭포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천지연폭포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지역 : 제주도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성중로 2-15 연락처 : 064-733-1528 1970~1980년대 제주로 신혼여행을 왔던 부부라면 누구나 한 장쯤 천지연폭포를 배경으로 한 사진을 갖고 있을 터다. 싱그러운 난대림 속에 파묻힌 수려한 경관, 인물과 함께 사진에 담기에 딱 적당한 폭 12m, 높이 22m의 크기, 폭포수가 떨어지는 호수까지 이어지는 잘 정돈된 산책로, 삼 박자가 맞아 떨어져 신혼부부를 비롯한 많은 여행객들이 그 시절부터 즐겨 찾던 고전적인 제주 관광 명소다. 천지연폭포가 자리한 계곡은 아열대와 난대 식물이 함께 우거져 울창한 숲을 이루는데, 아열대성 상록수인 담팔수가 자생하는 가장 북쪽 한계지인 데다 가시딸기나 송엽란 등 희귀식물이 발.. 2022. 8. 19. 우도 우도 지역 : 제주도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연락처 : 064-740-6000 우도는 제주도에 속한 섬 가운데 가장 큰 섬이면서, 제주를 축소해놓은 것 같은 곳이다. 사람들을 매혹하는 이국적인 풍광이 그러하고, 이 아름다움 탓에 일찍이 관광객이 몰려들며 여러 몸살을 앓아왔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다행히 더 쾌적한 우도를 위해 2017년 렌터카 진입 제한을 결정했고, 현재 우도를 찾는 여행자는 버스나 미니 전동차, 스쿠터 등으로만 다닐 수 있다. 의외로 불만보다는 색다른 탈것이 여행에 또 다른 재미를 준다는 평이다. 성산항이나 종달항에서 15~20분 배로 이동하면 천진항이나 하우목동항에 도착하며, 원하는 방향으로 해안도로를 따라 섬을 한 바퀴 도는 것이 일반적인 코스다. 팝콘처럼 생긴 특별한 .. 2022. 8. 19. 차이나타운 차이나타운 지역 : 인천 주소 : 인천광역시 중구 차이나타운로59번길 12 연락처 : 032-777-1330 홈페이지 : http://ic-chinatown.co.kr 1884년부터 한중수교 이전까지 유입된 화교와 그 후손이 터를 잡아 일군 인천 차이나타운은 현재 1000여 명의 화교가 거주하며, 이 가운데 90% 이상은 대만 국적이다. 일찍부터 중국 음식점이 터를 잡고 역사를 이어왔는데, 1912년 개업해 라면과 컵라면을 출시하기도 한 공화춘처럼 이름난 중식당이 꽤 된다. 즐비한 중식당 틈새로 만두, 월병, 공갈빵, 포천쿠키 등 주전부리를 파는 가게나 잡화점, 식료품점을 속속 발견하는 재미가 있다. 짜장면과 탕수육으로 배가 부를 땐 100년 식당 공화춘의 역사와 전통을 전시하는 짜장면박물관이나 인천근대.. 2022. 8. 19. 영남 알프스 영남 알프스 지역 : 울산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알프스온천5길 103-8(복합웰컴센터) 연락처 : 052-204-2931 홈페이지 : http://tour.ulsan.go.kr/index.ulsan 영남에도 알프스가 있다. 경북과 경남의 접경 지대에 형성된 험준한 산맥을 유럽의 알프스에 견준 이름으로, 최고봉인 가지산(1,241m)을 필두로 해발 1,000m 이상 높이를 자랑하는 봉우리 9개가 서로 어깨를 겯고 있다. 국내의 명산이라면 다닐 만큼 다녀본 베테랑 산악인들이 특히 영남 알프스를 최고로 꼽는데, 9봉 중 어느 산에 올라가도 높은 산들에 둘러싸인 웅장한 장관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남한에서 1,000m를 넘는 산이 이렇게 무리 지어 솟아난 곳은 영남 알프스가 유일하다. .. 2022. 8. 19.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