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여행/한국149대명산149

선운산 #전라북도 번호 : 77 선운산 높이 : 336 m 위치 :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심원면 등재여부 : 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월간산 공원구분 : 도립공원 선운산은 577년(위덕왕 24)에 검단선사(黔丹禪師)가 선운사(禪雲寺)를 창건하면서 불리던 이름으로, 선운이란 말은 신선이 구름 속에서 참선을 한다는 뜻이고, 도솔은 미륵부처가 있는 도솔천궁을 의미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선운산의 선은 ‘봉선한다’, ‘참선한다’는 뜻의 선(禪)인데, 선(仙)으로도 쓰인다고 하였다. 그러나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뒤 진흥왕의 국사인 ‘의운국사(義雲國師)가 청해서 선운사를 창건했다’라고 기록하여 창건자나 창건 연대를 승리자인 신라의 역사로 고쳤다. 선운산의 유래에 대해 잘못된 견해가 있다... 2022. 9. 1.
용봉산 #충청남도 번호 : 76 용봉산 높이 : 381 m 위치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예산군 덕산면 등재여부 :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홍성군이 기암괴석이 많아 ‘제2의 금강산’이라 불리는 용봉산에 연 평균 2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다녀갔다고 밝히며 가을 막바지 용봉산 산행 트래킹을 강력 추천했다. 군이 밝힌 2017~2019년 최근 3년간 입장객 수를 분석한 결과 2017년 237,423명, 2018년 197,458명, 2019년 9월 현재 151,902명으로 집계됐다. 입장료 수입만 연 2억 5천만 원에 이른다. 2018년 한해 입장객 수를 월별로 세분화해보면 3월이 25,87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11월 21,161명, 10월 20,847명으로 뒤를 이었다. 혹서기인 8월이 7,584명으로 가장 적.. 2022. 9. 1.
오서산 #충청남도 번호 : 75 오서산 높이 : 791 m 위치 :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보령시 청소면, 청라면 등재여부 :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오서산(烏棲山-790m)은 충남 서해안에 인접한 산 중 제일 높은 산이다. 그래서인지 예부터 이 산을 두고 뱃사람들은 항로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위치 정보로 활용하여왔다. 내포지역 지형의 특성상 주변은 낮은 언덕과 평지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 해발고도 800m가 채 되지 않는 산임에도 바다에서 뚜렷하게 확인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서해를 오가는 뱃사람들의 등대 역할을 하고 있는 이 산은 억새풀로 유명하다. 정상 능선부에 펼쳐진 약 1.3km 구간의 억새밭은 가을로 접어들면서 그 자체로 장관을 이루어 산을 좋아하는 사람은 물론 사진작가들이 즐겨 찾는 산이기도 하다. 그리.. 2022. 9. 1.
칠갑산 #충청남도 번호 : 74 칠갑산 높이 : 561 m 위치 :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정산면 등재여부 : 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월간산 공원구분 : 도립공원 칠갑산은 해발 561M의 높이로 크고 작은 봉우리와 계곡을 지닌 명산으로 자연 그대로의 울창한 숲을 지니고 있다. 칠갑산의 이름은 산천숭배사상을 따라 천지만물을 상징하는 칠(七)과 육십갑자의 첫글자인 갑(甲)자를 따왔다고 전해진다. 이와 함께 지천(芝川)과 잉화달천(仍火達川) 등이 돌아다니며 7곳에 명당을 만들어 놓아 이 같은 이름이 생겨났다고 알려져 있다. 1973년 3월 6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면적은 32.542㎢으로 4개면에 걸쳐 있으며 주요 명소로는 정상, 아흔아홉골, 칠갑산장(최익현동상, 칠갑산노래비 등), 천장호, 장곡사,.. 2022. 9. 1.
광덕산 #충청남도 번호 : 73 광덕산 높이 : 699 m 위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아산시 송악면 등재여부 : 블랙야크 해발 699m의 광덕산은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과 아산시 배방면, 송악면 사이에 있는 산세가 수려하고 숲이 우거진 명산이다. 산자락에 있는 광덕사는 진덕여왕 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하고 진산대사가 중건한 절로 경기, 충청지방에서는 가장 큰 절이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불타버리고 그 이후에 대웅전과 천불전을 세웠다. 이곳에는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보이는 3층 석탑이 남아 있으며, 팔각형태의 지붕을 삽입하여 특이한 건축양식으로 지은 종각이 있다. 또한 대웅전 입구에 있는 천연기념물 398호 지정 보호수인 수령 400년의 호두나무도 볼만하다. 이곳은 계절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이 찾아.. 2022. 9. 1.
덕숭산 #충청남도 번호 : 72 덕숭산 높이 : 495 m 위치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등재여부 : 산림청, 한국의산하, 월간산 공원구분 : 도립공원 덕숭산은 기암 괴석들이 많아 절묘한 산세를 뽐내며 1973년 3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호서의 금강산이라 불릴 만큼 아름다운 경관과 산세, 곳곳에 유명한 암자들이 있어 찾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천년고찰 수덕사와 만공탑, 이응로 유적지 등 많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으며 주변에 덕산온천이 있어 배낭 하나 메고 가볍게 떠날 수 있는 가족 나들이 코스로 손색 없는 산이다. 2022. 9. 1.
가야산(예산) #충청남도 번호 : 71 가야산(예산) 높이 : 678 m 위치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예산군 덕산면 등재여부 :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공원구분 : 국립공원 남부내륙 산간지역에 위치한 명산으로 1972년 국립공원 제 9호로 지정되었다. 가야산은 예부터 해동(海東)의 10승지 또는 조선 팔경의 하나로 이름이 높았다. 공원 면적은 76.256㎢이다. 주봉인 상왕봉(1,430m)이 소의 머리를 닮았다 해서 우두봉(牛頭峯)으로 불리기도 하며, 가야산에는 회장암으로 이뤄진 산악경관과 화강암으로 이뤄진 하천경관이 공존하고 있다. 불교의 성지인 가야산은 해인사와 팔만대장경, 홍류동계곡 등의 뛰어난 명승고적과 자연경관으로 예로부터 뛰어난 지덕을 갖춘 산으로 여겨졌다. 2022. 9. 1.
대둔산 #충청남도 번호 : 70 대둔산 높이 : 878 m 위치 : 충청남도 논산시, 금산군, 전라북도 완주군 등재여부 : 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월간산 공원구분 : 도립공원 수려한 자연경관을 지닌 대둔산은 호남의 소금강이라 불리며, 계곡과 단풍으로 유명하다. 3개 시.군에 걸쳐있으며, 논산 방면은 관광객보다는 등산객들에게 사랑받는다. 대둔산은 논산시를 비롯해 금산군과 전라북도 완주군이 경계를 이루면서 넓게 분포되어 있다. 호남의 소금강으로 불리며 기암괴석 등 웅장한 형태를 지닌 대둔산을 옛부터 절찬을 받을 만큼 수려한 자연경관을 지닌 명산이다. 대둔산은 논산의 동북쪽에 위치해 있고 계곡과 단풍으로 유명하다. 그 중 군지계곡과 수락폭포는 소금강의 진수를 보여준다. 산은 날씨와 계절에 관계없이 그때 그 .. 2022. 9. 1.
진악산 #충청남도 번호 : 69 진악산 높이 : 732 m 위치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남이면 등재여부 : 월간산 충남의 산 중에 세 번째로 높은 이 산은 충남의 최고봉 서대산(904m), 민족의 영산 계룡산(845m)에 이어 그 높이와 산세를 자랑한다. 일찍이 계룡산, 대둔산, 칠갑산, 서대산 등 충남에서 내로라하는 산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명산반열에 오른 이 산은 우리나라 최초 인삼재배지인 개삼터를 품고 있는 산이기도 하다. 진악산은 또 산의 정상부에 바위가 많아 능선을 타면서 막힘없는 시야에 매료되기도 하는 산이다. 보석사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진악광장까지(또는 그 반대) 종주를 하면 다양하게 다가오는 진악산의 풍광을 즐길 수 있다. 금산읍 시가지와 그 언저리 천태산, 서대산, 갈기산 등 주변 명산들.. 2022. 9. 1.
서대산 #충청남도 번호 : 68 서대산 높이 : 904 m 위치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군북면,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 등재여부 : 산림청, 한국의산하, 월간산 충남의 최고봉으로 한국의 100대명산 중의 하나인 이 산은 큰 산이면서도 주변 산과 줄기가 이어지지 않고 섬처럼 육지에 우뚝 솟아있어 비래산(飛來山)이라는 별칭을 얻고 있는 산이기도 하다. 서대산의 매력 포인트는 기암절벽. 동서남북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더라도 산의 곳곳에서 울창한 숲을 뚫고 울퉁불퉁 기암절벽이 튀어나와 있는 이 산은 뭇사람을 유혹하기에 모자람이 없다. 능선부는 말할 것도 없이 산 전체에 걸쳐 기암절벽이 발달하여 수많은 암봉과 암벽, 기암을 품고 있는 산으로 능선부의 어느 암벽이나 기암에 오르더라도 장쾌한 풍광이 유감없이 펼쳐진다. .. 2022. 9. 1.
월악산 #충청북도 번호 : 67 월악산 높이 : 1,094 m 위치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덕산면 등재여부 : 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월간산 공원구분 : 국립공원 1984년 17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287.571k㎡이다. 소백산을 지나 속리산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월악산은 기암절벽이 치솟아 산세가 험준하고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주봉은 영봉(1,097m)으로 불리고 있다. 만수봉, 금수산, 신선봉, 도락산 등 22개가 넘는 크고 작은 산과 봉우리를 거느리고 있다. 충북 제천시, 단양군, 충주시와 경북 문경시가 접해 있으며 수도권에서 가깝고 충주 호반과 어우러진 탐방지로 사계절 탐방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2022. 9. 1.
금수산 #충청북도 번호 : 66 금수산 높이 : 1,016 m 위치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 등재여부 : 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퇴계 이황 선생이 지어준 '금수산' 금수산(錦繡山)1,015.8m의 원래 이름은 백운산이었다. 그러나 조선 중기 단양 군수를 지낸 퇴계(退溪) 이황 (李滉·1501∼1570)이 단풍 든 이 산의 모습을 보고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답다'며 감탄, 산 이름을 금수산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금수산 남쪽 마을 이름이 백운동인 것도 옛 산 이름의 흔적이다. 금수산은 북쪽으로는 제천시내까지, 남쪽으로는 단양군 적성면 말목산(720m)까지 뻗어 내린 제법 긴 산줄기의 주봉이다. 주능선 상에는 작성산(848m), 동산(896.2), 말목산 등 700∼800미터 높이의 산들이 .. 2022. 9. 1.
천태산 #충청북도 번호 : 65 천태산 높이 : 715 m 위치 :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충청남도 금산면 제원면 등재여부 : 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천태산 산행의 맛은 단연 아찔한 암릉을 타는 짜릿함이다. 높이가 그리 높지 않고 규모도 크지 않지만 기암들이 무질서하게 들어서 있어 거친 바위를 타는 스릴을 톡톡히 즐길 수 있다. 또한 아기자기하면서도 웅장한 바위와 수많은 나무들이 조화를 이뤄 빚어낸 경치가 하도 아름다워 ‘충북의 설악’이라는 별칭까지 붙었으니 산행 초보자라도 힘들지 않게 설악산을 타는 듯한 산행의 즐거움을 기대해 볼만하다.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가족산행지로도 으뜸이다. 정상에 보이는 연봉들 사이로 속리산, 민주지산, 덕유산, 가야산, 서대산 등을 찾아보자. 천태산 영국사와 공민왕 .. 2022. 9. 1.
민주지산 #충청북도 번호 : 64 민주지산 높이 : 1,242 m 위치 :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용화면, 전라북도 무주군,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등재여부 : 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월간산 해발고도 1241.7m의 민주지산을 뚫고 지나는 주능선의 길이는 15km에 달하는데 주봉을 중심으로 1202m의 각호산, 1242m의 석기봉, 1178m의 삼도봉 등 곧게 선 산들이 늘어서 있어 산세가 무척 장쾌하다. 삼도봉에서 각호산까지 4개 봉우리를 지나는 구간은 산악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도전해 보고 싶어 하는 코스이다. 또한 산이 깊어 처음 민주지산을 찾은 사람이라도 원시림과 같은 산의 자연미에 감탄을 연발한다. 충북, 전북, 경북의 세지역에 걸쳐 있고 각 시군에서 정비한 등산로가 편안해 언제든지, 누구나.. 2022. 8. 31.
도락산 #충청북도 번호 : 63 도락산 높이 : 964 m 위치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대강면 등재여부 : 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도락산(965.3m)은 소백산과 월악산의 중간쯤에 형성된 바위산으로 현재 일부가 월악산국립공원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다. 산을 끼고 북으로는 사인암이 서로는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 등 이른바 단양팔경의 4경이 인접해 있으므로 주변경관이 더욱 아름답다. 단양 군수를 지낸 퇴계 이황 선생도 절경에 감탄했다고 한다. 능선에는 신선봉·채운봉·검봉·형봉 등의 암봉이 성벽처럼 둘러 있다. 상금교를 건너면 상선암이 있고 비탈진 능선을 거쳐 작은 선바위와 큰 선바위를 만난다. 도락산에서 전망이 제일인 신선봉에는 거대한 암반에 노송들이 솟아 있고 눈앞에는 월악산이 버티고 있다.황정산,.. 2022. 8. 31.
칠보산 #충청북도 번호 : 62 칠보산 높이 : 779 m 위치 :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등재여부 :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일곱 개의 봉우리가 보석처럼 아름답다고 하여 칠보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산행은 쌍곡 9곡의 제3곡인 떡바위에서 시작한다. 떡바위에서 건너다보이는 큰 바위는 제4곡인 문수암이며 등산로는 그 위에 능선으로 나있다. 능선 정상에 서면 동쪽으로는 백두대간의 희양산, 구왕봉, 장성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막장봉으로 뻗어간 능선위로 대야산과 중대봉이 보여 매우 아름답다. 2022. 8. 31.
청화산 #충청북도 번호 : 61 청화산 높이 : 970 m 위치 : 충청북도 괴산군, 경상북도 문경시, 상주시 등재여부 : 블랙야크 청화산은 경북 상주시 화북면 , 문경시 농암면과 충북 괴산군 청천면 등 3개 시군의 경계를 이루며 그 중앙에 우뚝 솟아있다. 충북과 경북의 경계를 이루는 백두대간 상의 한 봉우리인 청화산은 멀리 소백산으로부터 하설산 , 포암산, 주흘산, 조령산, 백화산, 희양산, 대야산등의 어깨를 타고 조항산까지 이어져 온 백두대간을 서남쪽 속리산으로 힘차게 밀어 붙어주고 있다. 청화산을 오르기 위해서는 의상저수지를 거쳐야 하는데 청화산과 주변의 산 그림자가 저수지 수면위에 아름답게 펼쳐져 산을 오르기 전에 산과 어우러진 자연의 경관에 감탄을 하게 된다. 특히 깊은 산속에서 흘러나와 모여진 물은 .. 2022. 8. 31.
용화산 #강원도 번호 : 60 용화산 높이 : 878 m 위치 :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 하남면, 춘천시 사북면 등재여부 : 산림청, 블랙야크 화산(878m)은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바위산(石山)으로 화천을 대표하는 명산으로 손꼽힌다. 용화산을 구성하는 복운모화강암은 한반도에서 중생대 화성활동(지하의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거나 다른 암석을 파고드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과 구조적 진화를 밝히는데 주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는 암석이다. 2022. 8. 31.